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혼부부간 지켜야 할 규칙|신혼 생활 7가지 규칙 정하기

연애&결혼

by 베이비 스토리 2025. 2. 5. 13:23

본문

신혼부부간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아무리 마음이 맞는 상대라고 하여도 같이 협력하고 도와주고 이해하는 노력이 없다면 결혼 생활을 원만하게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결혼 전 이런 생각이 없이 좋은 생활만 이어갈 것 같지만 결혼 후 이런저런 트러블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서로의 가치관의 차이가 느껴지기도 하기 때문에 부부간의 일정한 룰을 정한다면 부부간의 신뢰감을 쌓을 수 있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트러블이 생기기보단 유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부부간에 지켜야 할 규칙을 신혼 때 정해 놓고 그 규칙을 지킨다면 긍정적인 부부 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 갈 수 있습니다.

신혼부부간 지켜야 할 규칙 7가지

금전적인 문제 확인

결혼하면 지금까지 자신들이 번 돈에 대한 자유가 멈추게 됩니다. 연애시절의 경우 같이 먹고 놀고 즐기는 부분에서 큰 부담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결혼 후에는 주거비가 늘어나거나 생활비가 늘어나고 또한 아이가 생기게 되면 돈을 써야 할 일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혼 전에 비하여 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금전적인 부분에 대한 규칙을 미리 정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외벌이인 경우

외벌이인 경우 일하는 쪽은 의견을 존중하면서 일에 집중하 할 수 있게 지지해 주고 격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가사를 담당하는 쪽에 경제권을 주어서 생활비를 관리하게 하고 남은 돈을 저축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벌이인 경우 돈을 버는 쪽에서 경제권을 가질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수입에 대한 부분이 불명확해지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사를 담당하는 쪽에 씀씀이가 크거나 경제관념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가사를 분담하는 쪽에 경제권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맞벌이인 경우

최근에는 맞벌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대부분 맞벌이들의 경우 월급의 일부를 생활비로 모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각자 생활비를 사용하지 말고 가정에 들어가는 비용에 대한 자동이체나 카드 대금 결제 통장을 만들어서 한 달에 얼마가 들어오고 얼마를 지출하는지를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상대방의 수입이 얼마인지는 서로 간의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수입에 따라 생활비를 서로 조정한다면 불공평하다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친구 관계 확인

상대방이 어떤 친구들과 친분을 유지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이성친구의 경우 과거부터 친하게 지낸 관계라 하여도 단둘이 만나는 것은 상대방에게 그리 좋은 느낌은 아닙니다. 그런 사이가 아니어도 의심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 동료 혹은 친구들 간이 연락을 하는 경우 주의하여야 합니다. 어쩔 수 없이 이성을 만나야 할 때는 꼭 배우자에게 어떤 이유에서 만나고 해야 한다는 사실을 사전에 동의를 구하고 만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사 규칙 정하기

가사는 여자만 하는 것이 아닌 같이 분담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가사를 서로 간의 분담하여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쪽에서 불공평하다는 것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서로 간의 일이나 육아 상황 등을 고려하여 부담이 덜 되는 방향으로 가사를 분담하는 것이 서로 간의 스트레스를 덜게 하는 방법입니다. 특히 분담을 할 때 자신에게 맞고 잘할 수 있는 것을 맡을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한쪽이 요리를 잘한다면 요리를 한쪽이 정리를 잘한다면 청소 등 이런 방법으로 서로가 잘하는 것을 담당하게 한다면 스트레스는 줄어듭니다.

완벽을 요구하지 않기

상대방이 한 일에 대하여 너무 꼼꼼하고 완벽하게 요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요리나 청소 정리 등에 대하여 불평을 하기보단 잘했다고 이야기해 주고 수고했다 고맙다고 이야기하여 다음에 상대방이 더 잘할 수 있게 응원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귀가 시간 알려주기

회사들의 경우 정시 퇴근이 없거나 야근이나 회식 등이 빈번한 회사들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퇴근 시간을 미리 알려주거나 약속으로 늦게 되면 사전에 이야기하여 상대방이 기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다리는 입장에서 상대방의 귀가를 기다리거나 걱정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일생의 대부분을 다른 인생을 살아왔고 생활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연애를 할 땐 그저 만나서 시간을 보내는 것만으로도 좋겠지만 함께 살기 시작하면 생각이 다른 것과 생활 패턴이 다른 것이 더욱 크게 느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간의 양보를 하지 않거나 타협을 하진 않는다면 결혼생활이 답답해지고 서로 간의 신뢰에 금이 가기 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간의 규칙을 정하여 정해진 규칙만큼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고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계획도 실현 가능한 범위 안에서 목표를 갖고 함께 살아가는 것이 하나의 원만한 가정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관련글 더보기